다들 호평이 자자한 스탠바이미2를 구입했지만, 기대가 컸던 만큼 실망도 컸습니다.
세세한 부분들이지만 아쉬운 점들에 대해 기록합니다.
하드웨어
외부 단자 설계의 문제점
제품 양 사이드 스트랩 연결 부위에는 굳이 고무 마개를 씌워두면서, 정작 대부분이 사용하지 않는 상단 카메라 단자는 먼지 유입이 우려되는 위치임에도 그대로 노출되어 있습니다. 상단 한 가운데라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USB-C 포트가 제품 옆에 위치해 케이블 결합 시 안정감이 부족합니다. 100W급 USB-C 케이블은 꽤 무거운데, 하중에 대한 고려가 없는 설계입니다. 90도 꺾인 케이블을 사용하면 안정감은 있지만 바로 아래에 있는 HDMI 단자와 간섭이 발생합니다.
충전 상태 표시의 불친절함
충전 시 배터리 잔량을 전원 버튼 옆 LED로 확인할 수 없습니다.
저가 가전제품도 LED 색상으로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데, 스탠바이미2는 단지 충전 중과 충전 완료만 표시합니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충전 시에만 LED가 표시된다는 점입니다.
배터리를 탑재하는 제품이라면 기기가 켜져 있거나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항상 배터리 잔량을 표시해야 합니다.
또한 USB-C 충전 시 제품이 켜져 있으면 65W로, 꺼져 있으면 50W 수준으로 충전됩니다.
이에 대한 안내도 없고 기기가 꺼진 상태에서는 완충 전까지는 몇 퍼센트 충전되었는지 알 수도 없습니다.
소프트웨어
음악 백그라운드 재생 불가
120만원이 넘는 스마트기기임에도 음악 백그라운드 재생이 불가능합니다.
브라우저로 유튜브 뮤직을 실행해도 홈 버튼을 누르면 재생이 중지됩니다.
처음에는 제가 백그라운드 재생 방법을 모르는거라 생각했습니다. 누구 방법 아시는 분 계실까요?
불친절한 배터리 잔량 표시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려면 항상 홈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화면 상단을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해서 설정 화면을 열어야 합니다.
배터리가 생명인 제품인데, 최소한 화면 상단에 배터리 잔량을 상시 표시할 수 있는 옵션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여전히 느린 webOS
과거 LG 프로젝터 PF50KA를 사용하며 OS 속도에 경악했는데, webOS는 여전히 너무 느립니다.
메뉴 항목이 많지도 않고 시각적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닌데 이상할 정도로 느립니다.
저도 직접 보기 전까지는 3-4만원짜리 TV스틱보다도 느리다는 것을 믿지 않았습니다.
완성도 낮은 무드메이커
화면보호기처럼 영상이나 사진을 띄워두는 무드메이커 기능이 있지만, 기본 내장 영상들의 완성도가 들쑥날쑥합니다.
기기 성능이 부족해서인지 영상 반복 시점이 너무 티가 많이 납니다.
"물멍" 영상은 차라리 없는 편이 나았을 것 같습니다.
앱스토어는 제공하지만 스토리지는 비밀
앱스토어를 제공하면서도 사용 가능한 용량이나 남은 용량을 보여주는 메뉴가 없습니다.
내가 사용한 용량이 얼마인지, 남은 용량이 얼마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그 외
시간을 24시간제로 표시할 수 없습니다.
액세서리
혼자만 따로 노는 이해할 수 없는 리모컨 버튼 배열
스탠바이미2는 판매 루트에 따라 모델2가지로 구분해두고 리모컨에 차별을 두고 있습니다.
왼쪽: 직판 모델 ( 27LX6TPGA )에 탑재되는 자석이 들어간 리모컨
오른쪽: 오픈마켓을 통해 판매되는 모델 (27LX6TEGA)에 탑재되는 일반 리모컨
왼쪽이 상위 모델에 들어가는 리모컨인데, 보시면 뒤로가기 (이전) 버튼이 방향키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제가 본 리모콘 중에서 뒤로가기 버튼이 네비게이션 위에 있는 리모컨은 지금까지 이 제품이 유일합니다.
이 설계에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디자이너가 그저 보기 좋으라고 버튼을 유형별로 위아래 구분하려 했거나,
사용자가 넷플릭스 버튼을 실수로라도 쉽게 누르도록 넷플릭스사와 전략적인 제휴로 배치를 했거나..
차라리 후자였으면 좋겠습니다.
반쪽짜리 전용 스피커
30만원이 넘는 전용 스피커라면 스탠바이미의 배터리 잔량과 스피커의 배터리 잔량이 같이 표시되어야 하지만, 당연히 그런 것은 안됩니다. 블루투스 프로토콜에 배터리 정보가 다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화면에 띄우기만 하면 되지만.. 스탠바이미는 그런게 없습니다.
스탠바이미에서 배터리 잔량을 볼 수 없다면 제품에서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하는데,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야 배터리 상태를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충전 중에는 얼마나 충전되었는지 알 수도 없습니다.
그나마 XBOOM 이라는 스피커 전용 별도의 앱을 사용하면 배터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라이트 색깔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아마 거의 대부분의 분들이 스피커는 그대로 쓸텐데요..그래도 이 앱은 ThinQ 보다는 낫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도 좀 웃긴 부분이 있는데, 홈페이지의 사운드바 스펙 페이지에는 LG Soundbar 앱을 사용하라고 되어 있는데, 실제로는 XBOOM 이라는 앱을 사용해야 합니다.
전용 스피커임에도 스탠바이미2 장착 시에 여전히 USB 충전 케이블이 스탠드 뒤로 노출됩니다.
스탠바이미2는 스탠드 내에 케이블을 내장해 노출되지 않게 할 수는 없었을까요? 참 답답하네요.
유튜버들의 리뷰를 보면 스탠바이미2 스탠드와 스피커 결합 USB 단자 설계를 칭찬하던데, 애초에 봉 안에 케이블을 내장해줬으면 저런 기괴한 산업 장비 모양의 커넥터 자체가 필요가 없습니다.
총평
독특한 제품을 제품화시켜 양산하는 게 LG의 장점인데, 늘 세세한 부분들이 LG 제품을 아쉽게 만듭니다.
더 아쉬운건 이런 점이 시간이 지나도 별로 개선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참고
스탠바이미2 사용 설명서: https://gscs-b2c.lge.com/downloadFile?fileId=miBTlIkLHp6rkioAPVQj4g
스탠바이미 전용 스피커 사용 설명서: https://gscs-b2c.lge.com/downloadFile?fileId=kMjaCcZgFcVS0TO9dY3PIw